티스토리 뷰

목차



    반응형

    케이뱅크에 이어 카카오뱅크, 네이버페이가 잇따라 K패스를 출시했는데요. 각각 추가적인 혜택이 달라 선택지가 갈리고 있습니다. 카드사별로 추가 혜택과 실적 등에 대해서 비교해보도록 하겠습니다.

     

    1. K패스 공통혜택

     

    K패스는 한 달 동안 전국 대중교통을 15회 이상 이용한 고객에게 이용 금액에 따라 일정 금액을 돌려주는 서비스입니다. 일반인은 20%, 청년층은 30%, 저소득층은 최대 53.3%까지 환급받을 수 있으며, 다자녀 가구 등 추가 혜택 대상자에게도 할인 혜택이 제공됩니다.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2. 케이뱅크 K패스 (ONE 체크카드)

    1. 혜택
      • K패스 기본 환급 혜택 외에도 추가 캐시백 제공.
      • 대중교통비 월 5만 원 이상 사용 시 매월 3천 원 추가 캐시백 (단, 전월 실적 30만 원 이상 필요).
      • 무신사에서 케이뱅크 체크카드로 결제 시 최대 1만 5천 원, 29CM에서는 최대 2만 5천 원 할인 쿠폰 제공.
    2. 대중교통 결제 방식
      • 실물 체크카드를 이용한 결제 방식.
    3. K패스 환급 지급 방식
      • 현금 환급 방식으로 제공.

     

     


    3. 카카오뱅크 (K패스 프렌즈 체크카드)

    1. 혜택
      • 케이뱅크보다 추가 캐시백이 1천 원 더 많음.
      • 대중교통비 월 5만 원 이상 사용 시 매월 4천 원 추가 캐시백 (단, 전월 실적 30만 원 이상 필요).
      • 카카오뱅크 프렌즈 체크카드 기본 혜택도 적용됨.
      • 예를 들어,
        • 메가커피·빽다방 등에서 2천 원 이상 결제 시 100원 캐시백.
        • 에이블리에서 5만 원 이상 결제 시 2천 원 캐시백.
    2. 대중교통 결제 방식
      • 실물 체크카드를 이용한 결제 방식.
    3. K패스 환급 지급 방식
      • 현금 환급 방식으로 제공.

     

     


    4. 네이버페이 (모바일 교통카드)

    1. 혜택
      • K패스를 신규 등록한 회원에게 이용 실적과 관계없이 최대 8천 포인트 지급.
      • 대중교통비 이용 금액에 따라 네이버페이 포인트 적립.
        • 5만 원 이상 결제 시 2천 포인트 적립.
        • 10만 원 이상 결제 시 5천 포인트 적립.
        • 15만 원 이상 결제 시 8천 포인트 적립.
      • 대중교통비를 많이 사용할수록 네이버페이 포인트 적립량이 증가하여 네이버쇼핑에서 활용 가능.
    2. 대중교통 결제 방식
      • 실물 카드가 아닌 모바일 교통카드 방식.
      • NFC 기능을 활용하여 단말기에 태깅하여 결제 가능.
      • 자동 충전 기능 제공.
    3. K패스 환급 지급 방식
      • 이용한 다음 달 20일에 네이버페이 포인트로 적립.
      • 포인트는 네이버쇼핑에서 활용 가능.

     

     

    각 서비스별 차이점

    은행 케이뱅크 카카오뱅크 네이버페이
    카드명 ONE 체크카드 K패스 프렌즈 체크카드 (모바일 교통카드)
    캐시백 대중교통 5만 원 이상
    3천 원 추가 캐시백
    (전월 실적 30만 원 이상)
    대중교통 5만 원 이상
    4천 원 추가 캐시백
    (전월 실적 30만 원 이상)
    이용 실적에 따라
    네이버페이 포인트 적립
    (최대 8천 포인트)
    기타 혜택 - 무신사 1.5만 원
    -  29CM 2.5만 원
      할인 쿠폰 제공
    - 메가커피·빽다방 등
      2천 원 이용 시 100원 캐시백
    - 에이블리 5만 원 이상
      2천 원 캐시백
    - NFC 태깅 간편 결제
    - 자동 충전 기능 제공
    결제 방식 실물 체크카드 사용 실물 체크카드 사용 모바일 교통카드 사용
    환급방식 현금 환급 현금 환급 네이버페이 포인트로
    적립 후 사용 가능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각 서비스의 특성을 고려해 본인의 소비 패턴과 선호도에 맞는 K패스를 선택할 것으로 보입니다. 또한 카드의 디자인도 선택의 큰 결정요인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.